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이게 뭔말임?????
하야타신 | L:0/A:0
7/510
LV25 | Exp.1%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0-1 | 조회 292 | 작성일 2021-02-04 11:04:35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게 뭔말임?????

위너 공간의 개념은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 위너 공간은 그 측도의 푸리에 변환이 가우스 함수를 이룬다는 조건으로 추상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위너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푸리에 변환을 통한 정의[편집]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displaystyle Hsubseteq E}이므로

{displaystyle E^{*}subseteq H^{*}=H}

이며, E^{*}는 H의 조밀 집합을 이룬다. (여기서 {displaystyle (-)^{*}}는 연속 쌍대 공간을 뜻한다.)

만약

{displaystyle int _{E}exp(mathrm {i} langle lambda |xrangle ),mathrm {d} mu (x)=exp left(-{frac {langle lambda |lambda rangle _{H}}{2}}right)qquad forall lambda in E^{*}subseteq H}

라면, {displaystyle (E,mu ,H)}가 위너 공간이라고 한다.

구체적 정의[편집]

위너 공간의 개념은 힐베르트 공간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분해 가능 실수 힐베르트 공간 H 위의 기둥 집합의 족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H)} 위에, 다음과 같은 유한 가법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nu colon operatorname {Cyl} (H)to [0,1]}
{displaystyle nu colon P^{-1}(S)mapsto (2pi )^{n/2}int _{S}exp(-x^{2}/2),mathrm {d} ^{n}xqquad (Pcolon Hto mathbb {R} ^{n},;Sin operatorname {Borel} (mathbb {R} ^{n}))}

특히,

{displaystyle nu (H)=1}
{displaystyle nu (varnothing )=0}

이다. 그러나 이는 가산 무한 가법성을 충족시키지 못해, 측도를 이루지 못한다. 즉, 이는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Cyl} (H))=operatorname {Borel} (H)} 위의 (가산 가법) 측도의 제한이 아니다. 이를 H 위의 기둥 집합 측도(영어cylinder-set measure)라고 한다.

H 위의 (내적 노름과 다를 수 있는) 노름 {displaystyle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한 차원 부분 공간들의 열

{displaystyle V_{1}leq V_{2}leq dotsb leq H}

이 존재한다면, 이를 가측 노름(영어measurable norm)이라고 한다.

임의의 유한 차원 부분 공간 {displaystyle Wsubseteq H}에 대하여, 만약 {displaystyle Wperp V_{n}}이라면, {displaystyle nu ({xin Hcolon |operatorname {proj} _{W}x|>2^{-n}})<2^{-n}}이다.

H의, 어떤 가측 노름 {displaystyle |-|}에 대한 완비화인 바나흐 공간

{displaystyle Hsubseteq E}

가 주어졌다고 하자. {displaystyle B^{*}subseteq H^{*}cong H}이므로,

{displaystyle {Hcap Ccolon Cin operatorname {Cyl} (E)}subseteq operatorname {Cyl} (H)}

이다.

그렇다면, E의 기둥 집합의 족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E)} 위에 다음과 같은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nu colon operatorname {Cyl} (E)to [0,1]}
{displaystyle nu colon phi ^{-1}(S)mapsto nu (Hcap phi ^{-1}(S))qquad forall phi colon Bto mathbb {R} ^{n}}

이는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E)}로 생성되는 시그마 대수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Cyl} (E))=operatorname {Borel} (E)}

위에 가산 가법으로 유일하게 확장될 수 있다. 즉, 이는 가측 공간 {displaystyle (E,operatorname {Borel} (E))} 위의 확률 측도를 이룬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E,H,mu )}를 위너 공간이라고 한다.

성질[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유계 범함수 {displaystyle phi in E^{*}}에 대하여, mathbb {R}  위의 측도 {displaystyle phi _{*}mu }의 분포 함수는 평균이 0인 mathbb {R}  위의 정규 분포에 비례한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displaystyle mu (phi ^{-1}(S))=int _{S}Cexp(-x^{2}/2sigma ^{2}),mathrm {d} x,qquad (Cgeq 0,;sigma ^{2}>0)}

또한, 만약 {displaystyle phi neq 0}라면, C>0이다.

존재[편집]

임의의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 E에 대하여, 그 위의 위너 공간 구조 {displaystyle (mu ,H)}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3]:Theorem 4.47

페일리-위너 적분[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displaystyle E^{*}subseteq Hsubseteq E}

가 성립한다. 또한,

{displaystyle E^{*}subseteq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임을 보일 수 있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phi |_{operatorname {L} ^{2}(E,mu ;mathbb {R} )}={sqrt {langle phi |phi rangle _{H}}}}

다시 말해, 등거리 변환인 선형 변환

{displaystyle E^{*}to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이 존재한다. E^{*}는 H의 조밀 집합이므로, 이를 H 전체로 확장할 수 있다. 즉, 등거리 변환인 단사 선형 변환

{displaystyle Icolon Hto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이 존재한다. 이를 페일리-위너 사상(영어Paley–Wiener map)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서, 임의의 hin H 및 xin E에 대하여

{displaystyle I_{h}(x)in mathbb {R} }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페일리-위너 적분(영어Paley–Wiener integral)이라고 한다.

캐머런-마틴 정리[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 및 hin H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h)colon Eto E}
{displaystyle (+h)colon xmapsto x+h}

그렇다면, E 위의 보렐 확률 측도

{displaystyle mu _{h}=(+h)_{*}mu colon operatorname {Borel} (E)to [0,1]}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돈-니코딤 도함수

{displaystyle {frac {mathrm {d} mu _{h}}{mathrm {d} mu }}}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frac {mathrm {d} mu _{h}}{mathrm {d} mu }}=exp left(I_{h}(x))-{frac {1}{2}}langle h|hrangle right)}

여기서 {displaystyle I_{h}(x)}는 페일리-위너 적분이다. 이를 캐머런-마틴 정리(영어Cameron–Martin theorem)라고 한다.

연산[편집]

두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displaystyle (E',mu ',H')}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Eoplus E',Hoplus H')} 위에 다음 조건으로 결정되는 위너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displaystyle mu (Stimes S')=mu _{E}(S)mu _{E'}(S')qquad forall Sin operatorname {Borel} (E),;S'in operatorname {Borel} (E')}

[편집]

만약 H가 유클리드 공간(즉, 유한 차원 힐베르트 공간)이며, {displaystyle H=E}라고 하자. 이 경우, H 위의 위너 공간 구조의 개념은 H 위의, 평균이 0인 정규 분포와 같다.

고전 위너 공간[편집]

다음과 같은 바나흐 공간을 생각하자.

{displaystyle {mathcal {C}}_{0}^{0}([0,T],mathbb {R} ^{n})={fin {mathcal {C}}^{0}([0,T],mathbb {R} ^{n})colon f(0)=0}}
{displaystyle |f|_{{mathcal {C}}_{0}^{0}([0,T],mathbb {R} ^{n})}=max _{[0,T]}|f|_{mathbb {R} ^{n}}}

그렇다면, 그 속에 다음과 같은 부분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0}^{1,2}left([0,T],mathbb {R} ^{n}right)=operatorname {W} ^{1,2}([0,T],mathbb {R} ^{n})cap {mathcal {C}}_{0}^{0}([0,T],mathbb {R} ^{n})={fin {mathcal {C}}_{0}^{0}([0,T],mathbb {R} ^{n}),;mathrm {d} f/mathrm {d} tin operatorname {L} ^{2}([0,T],mathbb {R} ^{n})}}

여기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W} ^{1,2}(-)}는 소볼레프 공간이다. 즉, 이 부분 공간의 원소는 거의 어디서나 1차 도함수를 가지며, 그 1차 도함수는 르베그 공간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0}^{1,2}([0,T],mathbb {R} ^{2})}의 원소이다. (도함수의 L2 노름의 제곱은 에너지라고 하며, 따라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L} _{0}^{2,1}}의 원소는 유한 에너지 경로(영어finite-energy path)라고 한다.) 이는 조밀 집합이며, 그 위에 다음과 같은 힐베르트 공간 구조를 줄 수 있다.

{displaystyle langle f,grangle _{operatorname {L} _{0}^{2,1}left([0,1],mathbb {R} ^{n}right)}=int _{0}^{T}langle {dot {f}}(t),{dot {g}}(t)rangle _{mathbb {R} ^{n}},mathrm {d} t}

이제, 임의의 확률 공간 Omega  및 위너 과정

{displaystyle (W_{t}colon Omega to mathbb {R} ^{n})_{tin [0,T]}}

을 생각하자. W의 궤적은 거의 확실하게 연속 함수이므로, 그 궤적들의 확률 분포는 {displaystyle {mathcal {C}}_{0}([0,T],mathbb {R} ^{n})} 위의 측도를 정의한다. 즉, 임의의 보렐 집합 {displaystyle Ssubseteq {mathcal {C}}_{0}^{0}([0,T],mathbb {R} ^{n})}에 대하여,

{displaystyle mu (S)=Pr(Win S)}

로 놓는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mathcal {C}}_{0}^{0}([0,T],mathbb {R} ^{n}),mu ,operatorname {L} _{0}^{2,1}left([0,1],mathbb {R} ^{n}right))}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 이를 고전 위너 공간(古典Wiener空間, 영어classical Wiener space)이라고 한다.

브라운 다리[편집]

원을

{displaystyle mathbb {S} ^{1}=[0,1]/(0sim 1)}

로 정의하자.

L 노름을 가진, 초가 값이 주어진 주기 함수들의 바나흐 공간

{displaystyle E={mathcal {C}}_{0}^{0}(mathbb {S} ^{1},mathbb {R} ^{n})={fin {mathcal {C}}^{0}(mathbb {S} ^{1},mathbb {R} ^{n})colon f(0)=f(1)=0}}

을 생각하자. 이 위에, 부분 공간

{displaystyle H=operatorname {W} _{0}^{1,2}(mathbb {S} ^{1},mathbb {R} ^{n})=operatorname {W} ^{1,2}(mathbb {S} ^{1},mathbb {R} ^{n})cap E}

을 생각하자. 이는 내적

{displaystyle langle f,grangle =oint {dot {f}}{dot {g}}}

에 의하여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E 위에, 확률 과정

{displaystyle X_{t}=W_{t}-tW_{1}}

의 법칙으로 주어지는 확률 측도를 부여하자. 여기서 {displaystyle W_{t}}는 위너 과정이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E,H)}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3]:§4.4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위너 공간 구조[편집]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H 및 에르미트 양의 정부호 힐베르트-슈미트 작용소 {displaystyle Acolon Hto 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노름

{displaystyle |x|_{A}=langle Ax|Axrangle _{H}}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가측 노름임을 보일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정의된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에서 E 역시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3]:Corollary 4.62 반대로, 임의의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에서 E가 힐베르트 공간이라면, 이는 항상 위와 같은 꼴로 표현된다.

개추
|
추천
0
반대 1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L:33/A:602]
마리오
2021-02-04 11:38:00
추천1
[L:33/A:602]
마리오
2021-02-04 11:38:09
추천1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104313 일반  
진짜 설정집 내로남불 미치겠노 ㅋㅋㅋ [25]
이이이잉잉
2021-02-12 0-0 348
104312 일반  
펀맨에서 넉넉잡고 오롱코스선에서 나루토 세계관 정리가능 ㅇㅇ [2]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473
104311 일반  
쿠베라 두 사람중 누가 맞음? [1]
요그Sothoth
2021-02-12 0-0 142
104310 일반  
폰나토 검거 [13]
캉캉
2021-02-12 0-0 108
104309 일반  
"카구야를 능가하는 위협" [11]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200
104308 일반  
뭐 내로남불? 아 ㅋㅋ [2]
이이이잉잉
2021-02-12 0-0 245
104307 일반  
금서목록 세계관 설정대로면 [2]
코호몰로지
2021-02-12 1-0 625
104306 일반  
펀퀴새끼 뷔페식 논리좀 그만해라 씹 ㅋㅋ [10]
가가기
2021-02-12 4-0 180
104305 일반  
응~ 펀맨은 제노스부터 광속이야~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61
104304 일반  
선술 미나토 ㅋㅋㅋㅋ [5]
이이이잉잉
2021-02-12 0-0 92
104303 일반  
설정집? [29]
캉캉
2021-02-12 0-0 98
104302 일반  
나루토 최신파밸.jpg [4]
l암애투신살
2021-02-12 1-0 522
104301 일반  
내가 졌다 나루토 [34]
캉캉
2021-02-12 0-0 201
104300 일반  
나퀴새끼들 설정집 쓰면 지들이 더 안좋아지는걸 모르노 ㅋㅋ
이이이잉잉
2021-02-12 0-0 82
104299 일반  
다시 말하지만 다른 세계관에서 나루토 환술은 그냥 없는 기술이다
이이이잉잉
2021-02-12 0-0 97
104298 일반  
아니 펑퀴들 이해를 못하는거냐?? 무츠 시전시간이 빠른거라고 [1]
가가기
2021-02-12 0-0 117
104297 일반  
위력과 속도 모두 클래스가 달라진 카구야.jpg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128
104296 일반  
이해못하시나본데 [3]
캉캉
2021-02-12 0-0 121
104295 일반  
진짜 내로남불은 나퀴들 기본 패시브 [14]
이이이잉잉
2021-02-12 2-0 159
104294 일반  
펑퀴식 시간묘사 팩트 [21]
캉캉
2021-02-12 0-0 235
104293 일반  
펀퀴반박 싹다 반박해봄 [14]
가가기
2021-02-12 0-0 217
104292 일반  
나퀴 말대로 카게급은 육도급에 반응도 못하고 한합만에 털리는걸까? [1]
이이이잉잉
2021-02-12 0-0 356
104291 일반  
진짜 똑같이 펑맨스펙 부풀려봄 [8]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253
104290 일반  
나퀴 참교육 ^^ [3]
이이이잉잉
2021-02-12 4-0 423
104289 일반  
전공 vs 전황 [1]
비문학독해
2021-02-12 0-0 96
      
<<
<
2971
2972
2973
2974
2975
2976
2977
2978
2979
298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