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닭도리탕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
리네프 | L:59/A:439
37/210
LV10 | Exp.17%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0-0 | 조회 1,119 | 작성일 2012-02-22 20:07:43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닭도리탕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

작성자 : 김웅
질문 내용
닭도리탕은 한글과 일본어(혹은 한자어)를 중복하여 (닭+'鳥'とり:새를 뜻하는 일본어+탕) 쓴 경우라는 의견이 있다.
처음 닭도리탕의 이름을 짓게된 경위가 아무렴 그런 정도로 미련을 떨지는 않았을것 이라는 생각이 이 반론의 첫째 이유다.
또한 닭도리탕은 볶음요리나 조림 요리로 분류하기에는 경우에 따라 너무 많은 국물이 거추장스럽다. 완성된 요리의 형태로 보아서는 탕류에 속할 수 밖에 없는 형상이다.


'도리'의 여러 사전적 의미 중에서 눈에 띄는것을 정리해 보니, [건설]분야 에서 명사로서 '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위에 건너 지르는 나무' 라는 의미로서 '돌보'라는 다른 말이 있다. 이때 '도리'는 순수한 우리말이다. 또 다른 뜻으로 '둘레'의 옛말, 혹은 '굴대'(차륜)의 옛말이라는 뜻이 있으며 이때의 '도리'도 순 우리 말이다. 흥미로운 다른 한가지가 있는데 '이북에서는 바구니, 중절모 따위와 같은 둥근 물건의 둘레'를 바로 '도리'라고 불렀으며 이때에도 순수한 우리 옛말이다, 다른 말로는 '테'를 들을 수 있겠다. 즉 한문 표기가 없는 순수한 우리 말로서 '도리'라는 표현을 썻던것이다. 문제는 사전적으로 정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았으면서 흔히 사용해 왔던 우리말의 의미가 더 있다는 것이다.


건물의 서까래를 기둥간에 횡으로 질러서 받치는게 도리 라는 의미에서, 서까래가 설치되는 바로 그자리가 그 건축물의 전체 바닥 면적이 결정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다시 이북식 표현으로 물건의 둘레로서의 '도리'를 연관 하면, 아귀에서의 '도리'와 건물의 지붕에서 서까래 전채를 질러 받치는 부재로서의 '도리' 두가지 모두가 표현에 해당하는 대상의 '전체'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의 어린 시절을 반추 해 보면 아니 돌이켜 보면, 동네 시장판의 어느곳에서 남은 물건을 한꺼번에 모두 처분 할 때 바로 그 '도리'라는 표현을 사용 되었었음을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이 물건 도리하면 얼마유?" 혹은, "찾는 물건은 이미 다른사람이 도리 해 갔수." 바로 이 표현에서 '도리'라는 단어를 사용했던 것이다. '도리를 하다'라는 표현은 '전부를 처분 하다'는 표현에 사용 되었던 단어로서, 도리란 전부, 전체, 모두 등의 의미로 사용된 것다.


그렇다면 왜 '도리'가 음식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옛 문헌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생소한 이름일까?

우리 근세에 건설 현장의 막노동자가 급격하게 많이 필요하기 시작 했던 한국동란 이후에 일자리가 간절히 필요했던 이북에서 내려오신 많은 실향민들이 건설 현장에 활동하게 되었다, 시기를 그때로 하지 않더라도 그시기 이전에는 지금처럼 흉한 남북간 이동의 제한이나 어떠한 식으로던 소통의 제한이 있을 수 없었음을 감안하면 각 지방의 말은 대도시라면 어느 지방에서건 쉽게 접하고 들을 수 있었던 사회 구조 였다. 어떻던 어느 지역의 건설 노동자들던 그드들은 건설현장 안에 있는 숙소, 혹은 주변에서 기숙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 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생활용품, 음식과 술등을 판매하는 건설현장 주변의 식당이나 속칭 건설현장 전용 식당인 일본식 표현인 '함바'는 그들에게 꼭 필요한 장소 였으며 그듫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식당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적절한 음식 차림이 필요 했다. 날이 어두워지면 일을 끝낼 수 밖에 없는 건장한 남성을 대상으로 적당한 요깃거리와 술안주로서도 손색이 없고, 무엇 보다도 생존 상태로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식당에서 발생하는 잔반등의 폐기물도 처리 하면서도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를 키워서 수입도 늘여주는 , 크기도 적당한 닭이나 개는 그야말로 일석 다조의 매우 훌륭한 음식 재료가 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닭은 현장의 특성상 소수인원이 별도로 무리지어 함께 할 수 있는 최적의 매력적인 재료였던 것이다.

당시의 건설 현장으 모든 일은 거의 모두가 인력으로 처리 해야만 하는 구조 였으므로 당연히 많은 인원이 상주 했으며 때로는 적은 인원별로 상을 차려야 하면서도 각기 다른 주문에 맞춰 판매 되지 않는 음식이 남지 않게 되는 '개별 닭요리'는 먹는 사람도 공급하는 사람도 최고의 재료가 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 주문자의 취향대로 부위별 닭요리를 판매 한다면 차칫 재료가 남거나 모자라게 되고, 보관이나 괸리도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게 될것이다. 지금의 약병아리 크기로 잡는 닭과는 달리 다 큰 닭을 요리의 재료로 사용했던 당시의 경우에, 여러마리를 한꺼번에 큰 솥에서 요리를 해서 퍼주다 보면 분배의 공정성을 가늠 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므로 이 경우엔 수요자의 불만이 있을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즉 당시 현장에서 수요 공급자간의 시장 형성에도 도움이 되면서 서로가 만족할 수 있었던 공정한 요리가 바로 - 국물도 먹고 밥도 막으며 요기도 하고 술안줏거리에도 최적인 '닭 한마리가 온전하게 다 들어간 탕' - 이었던 것이다.



즉 건설 현장 에서 그 안의 전문 용어인 '도리'라는 단어는 자연스럽게 사용 되었것이며 그곳에서 필요했던 '닭 한마리가 온전하게 다 들어간 탕'이라는 요리 이름을 자연스럽게 '닭 도리탕' 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내가 어릴적에 먹었던 '닭 도리탕'에도 '닭의 머리 부터 닭 발, 똥집(모래 주머니), 간, 등 닭 한마리가 빠짐없이 모두 들어 있었다.




지금까지의 주장과 다른 의미지만 우리말 '도리'는 어느 부분을 일컷는 의미도 있다. 윗도리, 아랫도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다른 위미로 어느 부분을 베어내는 뜻으로 '도리다' 라는 낱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닭도리탕은 우리말로 제대로 만들어진 맞는 표현이다.


우연하게 일본어에 있는 鳥 - とり 라는 단어을 닭도리탕에 그 뜻을 무리하게 대입 하면서 멋진 요리를 처음 개발 하셨던 분들이 '닭새탕 이라고 요리 이름을 작명 했을것이라고, 혹은 누군가가 그렇게 부르기 시작했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으로 이어지고 우리말 어디에도 없었던 '볶음-탕'이라는 새로운 요리 분야를 만들어내는 초유의 사태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



'닭도리탕'
이름이 잘못 지어진게 아니라 해석이 잘못되고 있는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돌이켜 생각 하게하는 낱말이다.

?곳곳에서 지워지고 있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다시 불러 내기 보다 아름다운 말이 만들어 젔어도 이렇게 버려지는듯 하여 한 목소리 내어 본다.




이런류의 글에 대한 답변이 '우리말 사전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류의 답변이라면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사전이 마치 신이 우리에게 내려 주시기라도 했다는것이 아니라면 말이죠. 당초에 '나도 한마디'에 올리려 했으나 등록되지 않아 이곳에 올립니다.

내가 조사하고 고민한 나만의 주장으로 글이 표현 되었습니다.
 
==========================================
 
국립 국어원의 답변
작정자 : 온라인 가나다
내용
안녕하십니까?
‘닭도리탕’과 관련해 주신 내용 잘 보았습니다.
끝.
 
개추
|
추천
0
반대 0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L:35/A:291]
언트
위엄돋네
2012-02-28 21:15:59
추천0
[L:27/A:703]
베아트리체
워~
2012-05-25 21:05:38
추천0
아이스라떼
;;
2012-06-02 14:28:45
추천0
[L:40/A:439]
제갈택
ㅎㅎ
2013-01-14 20:43:41
추천0
[L:32/A:42]
날비딥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13-05-28 02:14:45
추천0
몽키카포네
국어원 참 재미있는 기관이닼ㅋㅋㅋㅋㅋㅋ
2013-08-17 22:20:02
추천0
드루와포루
ㅋㅋㅋㅋ
2014-03-01 11:57:15
추천0
Hugo
ㅋㅋㅋㅋㅋ
2014-04-05 16:06:32
추천0
키워드
ㅋㅋㅋㅋㅋㅋ
2014-11-20 01:09:31
추천0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20 | 댓글 3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827 유머  
착지 실패 [8]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169
826 유머  
좋아하는사람 있어? [13]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234
825 유머  
인과응보 [10]
아르티어스
2012-02-23 0-0 989
824 유머  
여성부가 보면 고발할지도 [13]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493
823 유머  
인터넷을 하는 이유 [8]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168
822 유머  
쿠우 [6]
아르티어스
2012-02-23 0-0 927
821 유머  
누굴 닮은거 같은데 [9]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095
820 유머  
거기 자네 [8]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071
819 유머  
대륙의 황사 [13]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219
818 유머  
엄청난 피규어 [8]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285
817 유머  
이승엽 모르면 간첩 [8]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240
816 유머  
무슨색이지? [5]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038
815 유머  
여긴 내영역이다 [6]
아르티어스
2012-02-23 0-0 1148
814 유머  
아빠불좀빌ㄹ줘 [16]
치마
2012-02-23 0-0 1407
813 유머  
아빠불좀빌려저ㅜ [5]
치마
2012-02-23 0-0 1304
812 유머  
올드하마 [10]
치마
2012-02-23 0-0 1111
811 유머  
호랑이 따위 두렵지 않아 [16]
리네프
2012-02-23 0-0 1474
810 유머  
트러블 메이커 [11]
리네프
2012-02-23 0-0 1329
809 유머  
러시아의 농업혁명 [11]
리네프
2012-02-23 0-0 1137
808 유머  
뼈를 깎는 쇄신 [6]
리네프
2012-02-23 0-0 1170
807 유머  
감성돋는 디씨인의 감동의 x촌 후기 [8]
리네프
2012-02-23 0-0 1503
806 유머  
....축구 재밌냐???? [8]
리네프
2012-02-23 0-0 1122
805 유머  
쓸데 없이 고퀄 [9]
리네프
2012-02-23 0-0 1283
804 유머  
쉽게 낸다고 하셨잖아요! [6]
리네프
2012-02-23 0-0 1149
803 유머  
물개 [5]
리네프
2012-02-23 0-0 912
      
<<
<
6771
6772
6773
6774
6775
6776
6777
6778
6779
678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