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믿었던' MZ 반대에 '화들짝'…尹 근로시간 개편 전면 재검토
크림동 | L:78/A:405
2,196/2,210
LV110 | Exp.99%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0-0 | 조회 81 | 작성일 2023-03-15 20:56:10
[서브캐릭구경ON]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327201?sid=100

'믿었던' MZ 반대에 '화들짝'…尹 근로시간 개편 전면 재검토

주 52시간 근로제도, 유연하게 적용하자. 연장근로 12시간을 계산하는 단위인 '주'를 '월·분기·(반기·)연'으로 바꿔서 신축적으로 하자는 거였잖아요. 윤석열 대통령이 상당히 강조해 왔는데, 재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저는 보통 재검토라고 하면 포기나 폐기 수장으로 생각했는데요. 발언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권혁중 경제평론가]

 

워딩 자체는 '재검토'입니다. 그렇게 표현했어요. 근데 해석은 보완.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재검토는 사실 '뒤집는다'는 이야기거든요.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정부에서 특히 강조했던 게 노동 개혁이었습니다. 공약 때부터 그래왔고요. 그 노동 개혁 중 하나가 연장근로 단위를 바꿔주는 거였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12시간이잖아요. 주 12시간. 이걸 월·분기·(반기·)연으로 바꾸면 바쁠 때는 더 일하게 되고, 쉴 때는 좀 더 쉬는 거고요. 그렇게 되거든요. 유연화되는 거죠. 근데 이걸 재검토한다고 하면 기존에 했던 이야기를 다 뒤집는 거거든요. 그래서 이제 시장에서는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느냐가 어제(14일) 되게 이슈였어요. 이슈 자체가 재검토? 그래서 계속 논란이 됐던 거죠. 결론은 해석은 어떻게 하냐면, 이건 보완이다. 보완이다.

 

[앵커]

 

백지화 아니고요?

 

[권혁중 경제평론가]

 

백지화 아닙니다. 기본 틀은 그대로 갖고 가되, 69시간이라는 근로 시간이 너무 길다 보니, 강도가 세다 보니 아마 이걸 줄여주는 쪽으로 보완되지 않을까. 그다음에 하나가 홍보입니다. 정책에 대해 MZ세대들의 반대가 매우 많거든요. 그런데 이게 유연화거든요. 노동시간의 유연화이다 보니, 이에 대해 정확하게 근로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나 소통을 강화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고요. 이런 점에서 어제 아주 뜨거웠고, 오늘(15일)도 굉장히 뜨거운 분위기라고 말씀드립니다.

 

[앵커]

 

앞으로도 뜨거울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한 이유가 MZ세대들의 반대 때문인데, 저희가 곧 MZ노조라고 불리는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 관계자의 이야기도 전화로 들을 예정이고요. 그럼 대통령의 발언 해석을 조금 더 해보고 싶은데, 어제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했고 오늘도 직접 브리핑을 했는데요. 정확하게 대통령의 발언, 코멘트는 어떻게 나왔습니까?

 

[권혁중 경제평론가]

 

어제는 '재검토'라는 키워드가 분명히 있었어요, 브리핑했을 때. 그러니까 시장에서 깜짝 놀랐던 건데 오늘 또 이야기를 브리핑했죠, 말씀하신 것처럼. 오늘 나와서 이야기할 때는 '보완'이라는 걸 확실하게 이야기했습니다. 정책적인 것에서 수정이 아니라 이에 대해 어느 정도의 소통을 강화해서, 시장과의 소통, 노동자와의 소통을 강화해서 이에 대해 합리적인 방안으로 도출하겠다는 의미로 정리했다고 보시면 되고요. 실제 정책 홍보도 정책 실패라는 이야기를 했거든요. 그러니까 좋은 정책이 나와도 그것에 대해 대국민적으로 정책 홍보가 안 되면 이거는 실패한 거나 다름없다고 이야기했거든요, 사실. 그래서 이에 대해 아마 강조했다고 보시면 되고요. 어제 한 총리도 똑같이 이야기했어요. 개편안이 보완이지 이에 대해서 완전 뒤집는다는 건 아니라고 이야기했어요.

 

[앵커]

 

한덕수 총리도, 그분도 대통령이 재검토하라고 하니까 이게 백지화되나, 폐기되나? 이렇게 물어보는 걸 듣고 한덕수 총리가 그게 아니다(라고 해명했잖아요). 혹시 대통령에게 직접 물어봤을까요, 한덕수 총리가?

 

[권혁중 경제평론가]

 

제가 보기에는 일단 실제적으로 취지가 '개편'이라고 보기에는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었어요. 저도 어제 리딩을 보면서 아, 이건 정말 시장에서 잘못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겠다. 왜냐하면 상식적으로 봐도 현 정부가 출범해서 야심 차게 밀고 있는 게 노동 개혁인데 이걸 백지화한다는 건 말이 안 되거든요, 사실. 그래서 기자들이 계속 물어봤던 거예요. '이 백지화에 대해 확실히 맞느냐, 재검토라는 워딩이 정말 맞느냐'고 재차 물어봤거든요. 그래서 이제는 워딩을 '보완'으로 바꿨다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

 

그렇군요. MZ세대를 감안하고 그 여론을 수렴하라고 하니까 지금 전화 연결이 된 것 같죠. 한번 먼저 들어보겠습니다. MZ노조라고 불리는 새로고침 노동조합협의회 부의장이죠. 송시영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동조합위원장. 왜 주 52시간 근로제의 유연한 적용을 반대하는지 들어보고 토론 이어가겠습니다. 송시영 부의장님, 안녕하십니까.

 

[송시영 부의장]

 

네, 안녕하세요.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주 52시간 유연한 적용 재검토의 배경이 MZ세대가 반대한다고 해서 MZ세대 의견을 들어보라고 했는데. 지난번에도 저희 방송에 나오셔서 반대 의견을 이야기하셨어요. 주 52시간 유연 적용, 유연하고 좋을 것 같은데 왜 반대하시나요?

 

[송시영 부의장]

 

일단 저희는 취지는 공감합니다. 취지는 공감하고 좋은 제도라고 할 수 있겠는데, 하지만 이건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지금 정부 지시대로 한 주 정말 열심히 일하고, 빡세게 일하고 한 달 쉰다. 그리고 휴가 사용 주체가 될 수 있을지도 의문인 거고요. 근데 솔직히 말씀드리면 지금 있는 휴가 제도도 다 쓰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그리고 MZ세대가 환영한다고 하셨는데, MZ세대라고 말하는 젊은 세대들은 대부분 하위 직급이에요. 근데 하위 직급이 휴가 사용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부터가 의문이고요. 그리고 사측이 이 제도를 악용했을 때 노동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나 그런 것들이 미비하기 때문에 저희가 반대하는 겁니다.(후략)

 

뭐 누구를 믿었다고??

개추
|
추천
0
반대 0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벤드
(mbc jtbc등) 특정 언론에서 노동자 주권 최대시간을 회사 주권 최소시간인 것 마냥 계속 억까하는데 누가 좋아라함ㅋㅋ
근무시간 유연화하려면 하루 최대 근로시간 늘려야하는건 당연한건데 무슨 한달 내내 일주일 60시간이상 근무 해야하는 것 처럼 가짜뉴스나 퍼나르고ㅋㅋ
저거 가능한 기업들이 이미 하고 있음. 평일에 야근 좀 하다가 금요일 같은날 휴가나 반차 쓰고. 그거 안되는 업무에서는 애초에 유연근무 도입 하면 안되는거지ㅋㅋ
2023-03-16 01:10:48
추천0
per
그래서 회사 주권 최소시간 안되게 막을 대책은?
다른 언론도 그 프레임인 것처럼 말하는데 그 언론들이 차지하는 비중은요?
억까면 회사주권 최소시간 안되게 하는 대책이 뭔지나 들어봅시다
2023-03-17 00:56:52
추천0
벤드
난 이미 야근하면 추가 휴가 받고 있는데요? 오히려 최대시간이 적어서 더 못받는 경우도 많음.
그게 안되는 업종은 그냥 못하는거지. 가능하면 한주 40시간할지 더하고 다음주에 쉴지 노동자 본인이 정하는거고.
한달 총 업무시간이 변하는게 아닌데 그럼 유연근무제 하려면 최대시간 늘려야지 줄여야해요? 단순 산수인데 이게 이해가 안돼요?
한달 내내 주 69시간 해야하는 것 처럼 억까좀 하지마요. 그렇게 못하게 만드는 거니까. 노동법은 왜있고 노동부는 왜 있나요?
하긴 유연근무제 맛 못보면 이해못할지도.
2023-03-17 10:45:01
추천0
per
? 최대시간 52시간이면 5일 동안 매일 8시 퇴근인데요?
안되는 업종은 못하는 건데 왜 다 일률적으로 69시간 하려는 거죠?
52시간도 예외 있는데요?
그래서 회사 ㅈ대로 하는 거 막는 대책은요?
가장 큰 문제가 대책이라니까요?
해라 마라 문제가 아니라 대책부터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노동자 본인이 결정하는데 불이익이 없죠
2023-03-17 11:52:21
추천0
벤드
최대시간만 보고 이러는거 그냥 지능문제라 생각합니다. 2+2=3+1=4 이런 산수 조차 이해 못할 지능인데 더 댓 안답니다.
노동부 신고하세요. 난 지금도 추가 휴가 잘만 받고 있음.
2023-03-17 12:07:22
추천0
per
MZ 안 가도 되는데 거기서 성명 나오고 나서야?
2023-03-17 00:52:27
추천0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21714 잡담  
무모해진 北도발…한미연습 빌미로 신무기 공개·위협강도 키워
인간맨
2023-03-26 0-0 38
21713 잡담  
이재명, 등돌린 '한때 측근' 유동규와 31일 법정 첫 대면
인간맨
2023-03-26 0-0 48
21712 잡담  
만약 조선이 병인양요 신미양요거치고 [51]
인간맨
2023-03-26 0-0 148
21711 잡담  
근데 솔직히 조선도 미친새끼짓 하나 하지 않았던가? [4]
Snpxm12
2023-03-26 0-0 121
21710 잡담  
'테라·루나' 권도형 측 "법원의 구금 연장 불복…항소할 것"
인간맨
2023-03-25 0-0 66
21709 잡담  
하이브, 남은 SM 주식 처분 어떻게…주가하락 땐 평가손 가능성
인간맨
2023-03-25 0-0 48
21708 잡담  
中 하얼빈서 7층 주상복합건물 가스 폭발…1명 사망·7명 부상(종합) [1]
인간맨
2023-03-25 0-0 86
21707 잡담  
북, ICBM·핵어뢰 대대적 내부선전…주민 불만 밖으로 돌리나
인간맨
2023-03-25 0-0 98
21706 잡담  
1060회 로또 1등 28명…당첨금 각 9억원(종합) [2]
인간맨
2023-03-25 0-0 86
21705 잡담  
‘김문기 향해 웃는 이재명’… 2015년 사진 추가 공개 [2]
인간맨
2023-03-25 0-0 105
21704 잡담  
윤석열이 55명 용사 호명 [1]
악마의열매
2023-03-25 0-0 137
21703 잡담  
“남 일 아니다”…중국의 대만 침공 워게임에 한국 주목받는 이유 [박수찬의 軍] [2]
인간맨
2023-03-25 0-0 107
21702 잡담  
쌍방울 부회장 "이화영이 허위 진술하라고 법정서 쪽지 건네"
인간맨
2023-03-24 0-0 59
21701 잡담  
양곡관리법 더불어공산당 단독 통과 ㄷㄷㄷ [8]
테라스탈
2023-03-24 0-0 215
21700 잡담  
사드 배치 6년 만에 첫 원격 훈련…'장군멍군' 식 맞대응
유이
2023-03-24 0-0 58
21699 잡담  
80년전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개거품 물면서 [8]
유이
2023-03-24 11-0 678
21698 잡담  
[단독]이재명, 쌍방울 재판 조서 SNS 올려 논란… 이화영측 “대북송금 변호인에 조서 줬다”
크림동
2023-03-24 0-0 34
21697 잡담  
[단독]"김건희 변호했던 수협銀 감사, 대통령실이 단수추천"
크림동
2023-03-24 0-0 38
21696 잡담  
MZ세대 80%, 주 69시간 도입 '반대'
크림동
2023-03-24 0-0 50
21695 잡담  
[단독]尹 '천안함 폭침' 울먹…제2연평해전 생존장병 추가 포상은? [3]
크림동
2023-03-24 2-0 209
21694 잡담  
"사죄해야 할 쪽은 한국" 심상찮은 일본
크림동
2023-03-24 0-0 52
21693 잡담  
[단독] "윤 대통령 빈손으로 보내지 말라" 원로들 조언에도 기시다 소신 굽히지 않았다
크림동
2023-03-24 0-0 39
21692 잡담  
이재명, 민생·인적쇄신으로 돌파구 찾기…비명계 반발은 여전(종합)
인간맨
2023-03-24 0-0 57
21691 잡담  
[단독] '천안함 피격은 北도발' 집필기준 바꿔 중고교 교과서 싣게 한다 [3]
흑설공주
2023-03-24 0-0 142
21690 잡담  
다시보는 서해수호의 날 [2]
유이
2023-03-24 2-0 199
      
<<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