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공부해라 공부 여기서 쓸데없는 나펑논쟁 하지말고
하야타신 | L:0/A:0
477/490
LV24 | Exp.97%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2-2 | 조회 606 | 작성일 2021-02-02 14:14:11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공부해라 공부 여기서 쓸데없는 나펑논쟁 하지말고

함수 fcolon Eto {mathbb  R}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은 조르당 가측 집합)의, 분할 {displaystyle {E_{i}}_{i=1}^{m}subseteq {mathcal {P}}(E)}에 대한 리만 합(영어Riemann sum)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um _{i=1}^{m}f(xi _{1}^{(i)},dots ,xi _{n}^{(i)})operatorname {m} (E_{i})qquad (xi _{1}^{(i)},dots ,xi _{n}^{(i)})in E_{i}}

또한, 다르부 상합(영어upper Darboux sum)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um _{i=1}^{m}sup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

또한, 다르부 하합(영어lower Darboux sum)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um _{i=1}^{m}inf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

함수 fcolon Eto {mathbb  R}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은 조르당 가측 집합)에 대하여, 만약 다음과 같은 극한이 존재하며, 분할 {displaystyle {E_{i}}_{i=1}^{m}} 및 각 집합의 점 {displaystyle (xi _{1}^{(i)},dots ,xi _{n}^{(i)})}의 열의 선택과 무관하다면, f를 E 위의 리만 적분 가능 함수(영어Riemann integrable function)라고 하며, 이 극한을 f의 리만 n중적분(영어n-ple Riemann integral)이라고 한다.

{displaystyle int _{E}f(x)dx=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lim _{lambda ({E_{i}}_{i=1}^{m})to 0}sum _{i=1}^{m}f(xi _{1}^{(i)},dots ,xi _{n}^{(i)})operatorname {m} (E_{i})}

또한, 다르부 상적분(영어upper Darboux integral)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항상 존재한다.

{displaystyle {begin{aligned}{overline {int _{E}}}f(x)dx={overlin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lim _{lambda ({E_{i}}_{i=1}^{m})to 0}sum _{i=1}^{m}sup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inf _{{mathcal {P}}(E)supseteq {E_{i}}_{i=1}^{m}in operatorname {dom} lambda }sum _{i=1}^{m}sup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end{aligned}}}

마찬가지로, 다르부 하적분(영어lower Darboux integral)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항상 존재한다.

{displaystyle {begin{aligned}{underline {int _{E}}}f(x)dx={underlin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lim _{lambda ({E_{i}}_{i=1}^{m})to 0}sum _{i=1}^{m}inf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sup _{{mathcal {P}}(E)supseteq {E_{i}}_{i=1}^{m}in operatorname {dom} lambda }sum _{i=1}^{m}inf _{(x_{1},dots ,x_{n})in E_{i}}f(x_{1},dots ,x_{n})operatorname {m} (E_{i})end{aligned}}}

특히, 리만 이중 적분을

{displaystyle iint _{E}f(x,y)dxdy=iint _{E}f(x,y)dA=lim _{lambda ({E_{i}}_{i=1}^{m})to 0}sum _{i=1}^{m}f(xi _{i},eta _{i})operatorname {m} (E_{i})}

와 같이 표기하며, 리만 삼중 적분을

{displaystyle iiint _{E}f(x,y,z)dxdydz=iiint _{E}f(x,y,z)dV=lim _{lambda ({E_{i}}_{i=1}^{m})to 0}sum _{i=1}^{m}f(xi _{i},eta _{i},zeta _{i})operatorname {m} (E_{i})}

와 같이 표기한다.

이상 리만 중적분[편집]

유계 집합과 (정의역이 조르당 영집합이 아니라면) 유계 함수에 한정된 리만 중적분을 무계 집합과 무계 함수를 허용하는 이상 리만 중적분(영어improper multiple Riemann integral)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일변수 함수에서와 달리, 이상 리만 중적분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절대 수렴한다는 것이다.

함수 fcolon Eto {mathbb  R} 및 그 정의역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E는 무계 집합이다.
  • f는 유계 함수이다.
  • 임의의 r>0에 대하여, {displaystyle Ecap {bar {B}}_{R}(0)}는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이다.
    • 여기서 {displaystyle {bar {B}}_{R}(0)={(x_{1},dots ,x_{n})colon x_{1}^{2}+cdots x_{n}^{2}leq R^{2}}}은 닫힌 공이다.
    • 특히, E가 무계 닫힌집합일 경우, {displaystyle Ecap {bar {B}}_{R}(0)}가 닫힌집합이라는 조건은 생략할 수 있다.
  • 임의의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displaystyle Fsubseteq E}에 대하여, f는 F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이러한 f 및 E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극한이 존재하며,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displaystyle Fsubseteq E}의 열의 선택과 무관하다면, 이를 f의 E 위의 이상 리만 중적분이라고 한다.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lim _{sup{r>0colon Fsupseteq Ecap {bar {B}}_{R}(0)}to infty }iint cdots int _{F}f(x_{1},dots ,x_{n})dx_{1}cdots dx_{n}}

비슷하게,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 및 {displaystyle (a_{1},dots ,a_{n})in E} 및 {displaystyle fcolon Esetminus {(a_{1},dots ,a_{n})}to mathbb {R}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E는 유계 집합이다.
  • f는 무계 함수이다.
  • 임의의 r>0에 대하여, {displaystyle Esetminus B_{R}(a)}는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이다.
    • 여기서 {displaystyle B_{R}(a)={(x_{1},dots ,x_{n})colon (x_{1}-a_{1})^{2}+cdots +(x_{n}-a_{n})^{2}leq r^{2}}}는 열린 공이다.
    • 특히, E가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일 경우, 이 조건은 생략할 수 있다.
  • 임의의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displaystyle Fsubseteq Esetminus {(a_{1},dots ,a_{n})}}에 대하여, f는 F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이러한 f 및 E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극한이 존재하며,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displaystyle Fsubseteq Esetminus {(a_{1},dots ,a_{n})}}의 열의 선택과 무관하다면, 이를 f의 E 위의 이상 리만 중적분이라고 한다.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lim _{inf{r>0colon Fsupseteq Esetminus B_{R}(a)}to 0^{+}}iint cdots int _{F}f(x_{1},dots ,x_{n})dx_{1}cdots dx_{n}}

르베그 중적분[편집]

르베그 중적분(영어multiple Lebesgue integral)은 유클리드 공간의 르베그 측도에 기반하여 정의된다.

성질[편집]

리만 적분 가능 함수는 유계 함수일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정의역이 조르당 영집합인 함수는 항상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그러나, 양의 조르당 측도의 집합들로 임의로 세밀하게 분할될 수 있는 정의역 위의 리만 적분 가능 함수는 항상 유계 함수이다. 특히, 조르당 가측 열린집합 또는 그 폐포 위의 리만 적분 가능 함수는 항상 유계 함수이다.[2]

리만 중적분은 일변수 함수의 리만 적분과 같은 성질들을 갖췄다. 예를 들어, 리만 중적분은 선형성 · 적분 집합에 대한 가법성 · 비엄격 부등식의 보존 · 곱의 적분 가능성 보존 등을 만족시킨다.[2]

누차 적분과의 관계[편집]

함수를 먼저 일부 변수에 대하여 적분한 뒤, 다시 남은 변수에 대하여 적분하는 것을 누차 적분(累次積分, 영어repeated integral) 또는 반복 적분(反復積分)이라고 한다. 중적분은 일정 조건 아래 누차 적분을 통해 구할 수 있다.

함수 fcolon Eto {mathbb  R}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는 조르당 가측 집합)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f는 E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 임의의 {displaystyle (x_{1},dots ,x_{n})in E}에 대하여, 리만 적분 {displaystyle overbrace {iint cdots int } _{{(x_{m+1},dots ,x_{n})colon (x_{1},dots ,x_{n})in E}}^{n-m}f(x_{1},dots ,x_{n})dx_{m+1}cdots dx_{n}}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2]

{displaystyle overbrace {iint cdots int } _{E}^{n}f(x_{1},dots ,x_{n})dx_{1}cdots dx_{n}=overbrace {iint cdots int } _{{(x_{1},dots ,x_{m})colon (x_{1},dots ,x_{n})in E}}^{m}dx_{1}cdots dx_{m}overbrace {iint cdots int } _{{(x_{m+1},dots ,x_{n})colon (x_{1},dots ,x_{n})in E}}^{n-m}f(x_{1},dots ,x_{n})dx_{m+1}cdots dx_{n}}
 
적분 구역 a ≤ x ≤ bα(x) ≤ y ≤ β(x) 위의 적분은 x를 고정한 채 y에 대하여 적분한 뒤, 이를 다시 x에 대하여 적분한 것과 같다.

일부 특수한 정의역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displaystyle phi leq psi }{displaystyle sigma leq tau })

  • {displaystyle iint _{[a,b]times [c,d]}f(x,y)dxdy=int _{a}^{b}dxint _{c}^{d}f(x,y)dy}
  • {displaystyle iint _{{(x,y)colon aleq xleq b,phi (x)leq yleq psi (x)}}f(x,y)dxdy=int _{a}^{b}dxint _{phi (x)}^{psi (x)}f(x,y)dy}
  • {displaystyle iint _{{(x,y)colon aleq yleq b,phi (y)leq xleq psi (y)}}f(x,y)dxdy=int _{a}^{b}dyint _{phi (y)}^{psi (y)}f(x,y)dx}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x,y)in Omega ,phi (x,y)leq zleq psi (x,y)}}f(x,y,z)dxdydz=iint _{Omega }dxdyint _{phi (x,y)}^{psi (x,y)}f(x,y,z)dz}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x,z)in Omega ,phi (x,z)leq yleq psi (x,z)}}f(x,y,z)dxdydz=iint _{Omega }dxdzint _{phi (x,z)}^{psi (x,z)}f(x,y,z)dy}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y,z)in Omega ,phi (y,z)leq xleq psi (y,z)}}f(x,y,z)dxdydz=iint _{Omega }dydzint _{phi (y,z)}^{psi (y,z)}f(x,y,z)dx}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aleq xleq b,(y,z)in Omega _{x}}}f(x,y,z)dxdydz=int _{a}^{b}dxiint _{Omega _{x}}f(x,y,z)dydz}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aleq yleq b,(x,z)in Omega _{y}}}f(x,y,z)dxdydz=int _{a}^{b}dyiint _{Omega _{y}}f(x,y,z)dxdz}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aleq zleq b,(x,y)in Omega _{z}}}f(x,y,z)dxdydz=int _{a}^{b}dziint _{Omega _{z}}f(x,y,z)dxdy}
  • {displaystyle iiint _{{(x,y,z)colon aleq xleq b,phi (x)leq yleq psi (x),sigma (x,y)leq zleq tau (x,y)}}f(x,y,z)dxdydz=int _{a}^{b}dxint _{phi (x)}^{psi (x)}dyint _{sigma (x,y)}^{tau (x,y)}f(x,y,z)dz}

그러나, 둘째 전제가 없다면 결론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displaystyle f(x,y)={begin{cases}x&(x,y)in {1,1/2,1/3,dots }times mathbb {Q} 0&(x,y)not in {1,1/2,1/3,dots }times mathbb {Q} end{cases}}}

그렇다면,

{displaystyle iint _{[0,1]times [0,1]}f(x,y)dxdy=0}
{displaystyle int _{0}^{1}dyint _{0}^{1}f(x,y)dx=0}

이지만, {displaystyle f(1/n,y)=1_{mathbb {Q} }(y)/n} (n=1,2,dots )가 리만 적분 가능 함수가 아니므로

{displaystyle int _{0}^{1}dxint _{0}^{1}f(x,y)dy}

는 존재하지 않는다.

치환 적분[편집]

 
극좌표계
 
원통 좌표계
 
구면 좌표계

함수 {displaystyle gcolon Eto mathbb {R} ^{n}}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는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및 {displaystyle fcolon g(E)to mathbb {R}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g는 단사 mathcal C^1 함수이다.
  • 임의의 {displaystyle tin D}에 대하여, {displaystyle det J_{g}(t)neq 0}
  • f는 {displaystyle g(E)}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int _{g(E)}f(x)dx=int _{E}f(g(t))left|det J_{g}(t)right|dt}

여기서 {displaystyle det J_{g}}는 g의 야코비 행렬식인데, 어떤 점에서의 야코비 행렬식의 값은 대략 변환이 그 점 주위의 초부피를 확대시키는 배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극좌표 변환

{displaystyle x=rcos theta }
{displaystyle y=rsin theta }
{displaystyle det {frac {partial (x,y)}{partial (r,theta )}}={begin{vmatrix}cos theta &-rsin theta sin theta &rcos theta end{vmatrix}}=r}

에 의한 치환 적분 공식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iint _{D}f(x,y)dxdy=iint _{g^{-1}(D)}f(rcos theta ,rsin theta )rdrdtheta }

또한, 원통 좌표 변환

{displaystyle x=rcos theta }
{displaystyle y=rsin theta }
{displaystyle z=z}
{displaystyle det {frac {partial (x,y,z)}{partial (r,theta ,z)}}=r}

에 의한 치환 적분 공식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iiint _{D}f(x,y,z)dxdydz=iiint _{g^{-1}(D)}f(rcos theta ,rsin theta ,z)rdrdtheta }

또한, 구면 좌표 변환

{displaystyle x=rcos theta sin varphi }
{displaystyle y=rsin theta sin varphi }
{displaystyle z=rcos varphi }
{displaystyle det {frac {partial (x,y,z)}{partial (r,theta ,varphi )}}=-r^{2}sin varphi }

에 의한 치환 적분 공식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iiint _{D}f(x,y,z)dxdydz=iiint _{g^{-1}(D)}f(rcos theta sin varphi ,rsin theta sin varphi ,rcos varphi )r^{2}sin varphi drdtheta dvarphi }

기하학적 성질[편집]

음이 아닌 값의 함수 fcolon Eto {mathbb  R}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는 조르당 가측 집합)의 리만 중적분은 밑면이 정의역, 윗면이 함수의 그래프인 도형의 조르당 측도와 같다.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operatorname {m} ({(x_{1},dots ,x_{n+1})colon (x_{1},dots ,x_{n})in E,;0leq x_{n+1}leq f(x_{1},dots ,x_{n})})}

특히, 상수 함수 1의 리만 중적분은 정의역의 조르당 측도와 같다.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dx_{1}cdots dx_{n}=operatorname {m} (E)}

이상 중적분의 성질[편집]

이상 중적분 역시 중적분과 비슷한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함수 {displaystyle fcolon [a,infty )times [b,infty )to mathbb {R}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임의의 조르당 가측 닫힌집합 {displaystyle Fsubseteq [a,infty )times [b,infty )}에 대하여, f는 F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3]:175, 定理15.5.4

  • 만약 {displaystyle int _{a}^{infty }dxint _{b}^{infty }|f(x,y)|dy<infty }라면, {displaystyle iint _{[a,infty )times [b,infty )}f(x,y)dxdy=int _{a}^{infty }dxint _{b}^{infty }|f(x,y)|dy}
  • 만약 {displaystyle int _{a}^{infty }dxint _{b}^{infty }|f(x,y)|dy=infty }라면, {displaystyle iint _{[a,infty )times [b,infty )}f(x,y)dxdy}는 발산한다.

또한, 무계 닫힌집합 {displaystyle Esubseteq mathbb {R} ^{n}} 및 단사 mathcal C^1 함수 {displaystyle gcolon Eto mathbb {R} ^{n}} 및 함수 {displaystyle fcolon g(E)to mathbb {R} }에 대하여, 만약 두 이상 적분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g(E)}f(x)dx=iint cdots int _{E}f(g(t))left|det J_{g}(t)right|dt}

가운데 하나가 존재한다면, 남은 하나도 존재하며, 이 둘은 서로 같다.[3]:175, 정리 15.5.5

이상 리만 중적분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

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displaystyle iint cdots int _{E}|f(x_{1},dots ,x_{n})|dx_{1}cdots dx_{n}<infty }

이다. 즉, 일변수 함수의 경우와 달리, 이상 리만 중적분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절대 수렴이다.

[편집]

직육면체의 부피[편집]

직육면체 {displaystyle [0,1]times [0,2]times [0,3]}의 부피를 중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begin{aligned}iiint _{[0,1]times [0,2]times [0,3]}dxdydz&=int _{0}^{1}dxint _{0}^{2}dyint _{0}^{3}dz&=int _{0}^{1}dxint _{0}^{2}3dy&=int _{0}^{1}6dx&=6end{aligned}}}

삼각뿔의 부피[편집]

삼각뿔 {displaystyle {(x,y,z)colon 0leq x,y,zleq x+y+zleq 1}}의 부피를 중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begin{aligned}iiint _{{(x,y,z)colon 0leq x,y,zleq x+y+zleq 1}}dxdydz&=int _{0}^{1}dxint _{0}^{1-x}dyint _{0}^{1-x-y}dz&=int _{0}^{1}dxint _{0}^{1-x}(1-x-y)dy&=int _{0}^{1}{frac {(1-x)^{2}}{2}}dx&={frac {1}{6}}end{aligned}}}

이차 곡면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부피[편집]

 
타원 포물면 z = x2 + y2와 원기둥 x2 + y2 = a2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x2 + y2 + z2 = a2와 원뿔 z2 = (x2 + y2)tana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타원 포물면과 원기둥으로 둘러싸인 도형 {displaystyle {(x,y,z)colon 0leq zleq x^{2}+y^{2}leq a^{2}}}의 부피를 중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begin{aligned}iiint _{{(x,y,z)colon 0leq zleq x^{2}+y^{2}leq a^{2}}}dxdydz&=int _{0}^{a}rdrint _{0}^{2pi }dtheta int _{0}^{r}dz&=int _{0}^{a}r^{2}drint _{0}^{2pi }dtheta &=int _{0}^{a}2pi r^{2}dr&={frac {2}{3}}pi a^{3}end{aligned}}}

와 원뿔로 둘러싸인 도형 {displaystyle textstyle left{(x,y,z)colon {sqrt {x^{2}+y^{2}}}cot alpha leq zleq {sqrt {a^{2}-x^{2}-y^{2}}}right}}의 부피를 중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begin{aligned}iiint _{left{(x,y,z)colon {sqrt {x^{2}+y^{2}}}cot alpha leq zleq {sqrt {a^{2}-x^{2}-y^{2}}}right}}dxdydz&=int _{0}^{alpha }sin varphi dvarphi int _{0}^{2pi }dtheta int _{0}^{a}r^{2}dr&={frac {1}{3}}a^{3}int _{0}^{alpha }sin varphi dvarphi int _{0}^{2pi }dtheta &={frac {2}{3}}pi a^{3}int _{0}^{alpha }sin varphi dvarphi &={frac {2}{3}}pi a^{3}(1-cos alpha )end{aligned}}}

치환 적분의 예[편집]

극좌표 변환 · 원통 좌표 변환 · 구면 좌표 변환 외의 변환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는 중적분의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iint _{{(x,y)colon 0leq x,yleq x+yleq 1}}{sqrt {frac {xy}{x+y}}}dxdy}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변환을 사용하자.

{displaystyle x=rcos ^{2}theta }
{displaystyle y=rsin ^{2}theta }

이 변환의 야코비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det {frac {partial (x,y)}{partial (r,theta )}}={begin{vmatrix}cos ^{2}theta &-rsin 2theta sin ^{2}theta &rsin 2theta end{vmatrix}}=rsin 2theta }

따라서 상술 이중 적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iint _{{(x,y)colon 0leq x,yleq x+yleq 1}}{sqrt {frac {xy}{x+y}}}dxdy={frac {1}{2}}int _{0}^{1}{sqrt {r^{3}}}drint _{0}^{frac {pi }{2}}sin ^{2}2theta dtheta ={frac {pi }{20}}}

이상 중적분의 예[편집]

가우스 함수의 적분

{displaystyle int _{0}^{infty }e^{-x^{2}}dx}

은 이상 중적분

{displaystyle iint _{mathbb {R} ^{2}}e^{-x^{2}-y^{2}}dxdy}

을 통해 구할 수 있는데, 이는

{displaystyle {begin{aligned}iint _{mathbb {R} ^{2}}e^{-x^{2}-y^{2}}dxdy&=lim _{ato infty }iint _{[-a,a]times [-a,a]}e^{-x^{2}-y^{2}}dxdy&=lim _{ato infty }int _{-a}^{a}e^{-x^{2}}dxint _{-a}^{a}e^{-y^{2}}dy&=4left(int _{0}^{infty }e^{-x^{2}}dxright)^{2}end{aligned}}}

이기 때문이다. 이 이상 중적분의 값은

{displaystyle {begin{aligned}iint _{mathbb {R} ^{2}}e^{-x^{2}-y^{2}}dxdy&=lim _{ato infty }iint _{{(x,y)colon x^{2}+y^{2}leq a^{2}}}e^{-x^{2}-y^{2}}dxdy&=lim _{ato infty }iint _{{(r,theta )colon 0leq rleq a,;0leq theta leq 2pi }}e^{-r^{2}}rdrdtheta &=lim _{ato infty }int _{0}^{a}e^{-r^{2}}rdrint _{0}^{2pi }dtheta &=pi end{aligned}}}

이므로, 가우스 함수의 적분 값은

{displaystyle int _{0}^{infty }e^{-x^{2}}dx={frac {sqrt {pi }}{2}}}
개추
|
추천
2
반대 2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l암애투신살
공부는 도서실에서, vs는 츄잉에서
2021-02-02 14:15:17
추천0
GOHKJNMC
전공이 수학임?
2021-02-02 14:22:36
추천0
올드캣
말은 그렇게해도 매일 vs게에 출석하는 하야타신
2021-02-02 14:24:22
추천0
캉캉
나무위키 컽!
2021-02-02 14:40:19
추천0
엔키
저건 위키피디아야 등신아..
2021-02-02 15:52:27
추천0
캉캉
그걸 내가 어떻게 아냐 ㅋㅋㅋㅋㅋ
2021-02-02 17:53:14
추천0
어서와
그냥 복붙하는 너 같은놈이 공부라는 소리를 하니? ㅋ 여태까지 vs 에서 ㅈㄴ ㅈ같은 망상 딸딸이 소설만 쓴 주제에~
2021-02-02 17:59:00
추천1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104337 일반  
뇌피셜은 상대해줄 필요가 없지 [3]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113
104336 일반  
아 ㅋㅋ 또 설정집 가져온다고 ㅋㅋㅋ [24]
이이이잉잉
2021-02-12 0-0 85
104335 일반  
쪽수로 밀어붙인다 ㄴㄴ~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70
104334 일반  
또 어셈블 ㅋㅋㅋ [15]
캉캉
2021-02-12 0-0 156
104333 일반  
??? 십미는 소행성 수준이라고 했으니 행성급! [32]
이이이잉잉
2021-02-12 0-0 131
104332 일반  
진지하게 팽구는 잘쳐줘서 섬크기까지 커지고 팽창멈춘다고 본다 [9]
쾌걸고케츠
2021-02-12 2-0 85
104331 일반  
금서 흑익액셀vs미사갓vs화키네 [8]
보옭볽
2021-02-12 0-0 165
104330 일반  
블래스트는 블랙홀을 창조한다 [6]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166
104329 일반  
나루토 달 2km 인정한다니까 또 날조해대노 ㅋㅋ [7]
이이이잉잉
2021-02-12 2-0 187
104328 일반  
펀퀴 인정 ㅋㅋㅋㅋ [1]
캉캉
2021-02-12 0-1 148
104327 일반  
배틀위키 보면 NFL, FLT 이런 용어가 나오던데 무슨 뜻인가요? [4]
코호몰로지
2021-02-12 0-0 106
104326 일반  
밤가이 1번쓰고 뒤지는 가이(8문)VS미나토 이렇게 붙으면 미나토가 이기냐고ㅋㅋㅋㅋㅋㅋㅋ
쾌걸고케츠
2021-02-12 0-0 79
104325 일반  
아니 나루토는 [3]
캉캉
2021-02-12 0-0 95
104324 일반  
10초 제노스 = 나루토 무쌍 [40]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242
104323 일반  
브로리가 0티어인 이유 [1]
베이비오일
2021-02-12 0-0 129
104322 일반  
진모리 in 드래곤볼 [11]
비문학독해
2021-02-12 0-0 224
104321 일반  
브로리 vs 복희 [7]
비문학독해
2021-02-12 0-0 177
104320 일반  
전황은 뭐임 [2]
보옭볽
2021-02-12 0-0 115
104319 일반  
단테&버질vs 메이플스토리 군단장 전체
Gyromite
2021-02-12 0-0 154
104318 일반  
생각해보면 아인즈 초위 마법도 꽤 쏀듯 [3]
Qpiw
2021-02-12 0-0 267
104317 일반  
금속배트 위로 전부 무한우주권임 ㅅㄱ [4]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144
104316 일반  
원펀맨 진짜 스펙
l암애투신살
2021-02-12 1-0 341
104315 일반  
나루토 속도 모르는 사람 없지? [15]
이이이잉잉
2021-02-12 2-0 626
104314 일반  
아직도 제노스 광속 모르는사람 없제? [3]
l암애투신살
2021-02-12 0-0 182
104313 일반  
진짜 설정집 내로남불 미치겠노 ㅋㅋㅋ [25]
이이이잉잉
2021-02-12 0-0 348
      
<<
<
2971
2972
2973
2974
2975
2976
2977
2978
2979
298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